석굴암 본존불 (국보제24호)
십일면 관음보살상
감실보살상
사천왕상
대범천상
인왕상
금강역사상
종 목 | 국보 제24호 |
명 칭 | 석굴암석굴(石窟庵石窟)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
수량/면적 | 1기 |
지 정 일 | 1962.12.20 |
소 재 지 | 경북 경주시 진현동 891 석굴암 |
시 대 | 통일신라 |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재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토함산 중턱에 백색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내부공간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위 벽면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역사상, 천왕상 등 총 40구의 불상을 조각했으나 지금은 38구만이 남아있다. 석굴암 석굴의 구조는 입구인 직사각형의 전실(前室)과 원형의 주실(主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원형 주실의 천장을 교묘하게 구축한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뛰어난 기술이다. 석굴암 석굴의 입구에 해당하는 전실에는 좌우로 4구(軀)씩 팔부신장상을 두고 있고, 통로 좌우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으며, 좁은 통로에는 좌우로 2구씩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원형의 주실 입구에는 좌우로 8각의 돌기둥을 세우고, 주실 안에는 본존불이 중심에서 약간 뒤쪽에 안치되어 있다. 주실의 벽면에는 입구에서부터 천부상 2구, 보살상 2구, 나한상 10구가 채워지고, 본존불 뒷면 둥근 벽에는 석굴 안에서 가장 정교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이 서 있다. 원숙한 조각 기법과 사실적인 표현으로 완벽하게 형상화된 본존불, 얼굴과 온몸이 화려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 용맹스런 인왕상, 위엄있는 모습의 사천왕상, 유연하고 우아한 모습의 각종 보살상, 저마다 개성있는 표현을 하고 있는 나한상 등 이곳에 만들어진 모든 조각품들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특히 주실 안에 모시고 있는 본존불의 고요한 모습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로움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의 본존불은 내면에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로움이 저절로 전해질 듯 하다. 석굴암 석굴은 신라 불교예술의 전성기에 이룩된 최고 걸작으로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더욱 돋보인다. 현재 석굴암 석굴은 국보 제24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석굴암은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되었다. |
석굴암 배치도
일제강점기 훼손되기 전 모습
훼손되기전 옛모습
토암산 석굴암 일주문 앞에서~~
경주 불국사 일주문
불국사 대웅전에서~~
대웅전(內) 좌측에 아난존자 우측에 가섭존자
불국사 극락전 아미타불(국보제27호)
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 마석산(우리마을)
종각앞에서
금천사 범종에 김동길(金東吉) 이름석자 아침(28번), 저녁(33번), 기도때 불국정토에 울려퍼진다(옴 마니 반메훔)
약사전앞에서
영취산 통도사 일주문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금강 계단(국보 제290호)
통도사 경내 스님만 오가네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
해인사 삼층석탑
성철스님 부도탑
성철스님
호거산 운문사(고려때 중 일연이가 (주지사로 있을때) 삼국유사를 쓴 사찰이다)
처진 소나무에서
운문사 위쪽에 사리암
나반존자를 모신 천태각
내남 백운대 내고향 앞산 (마석산) 용문사
이마애불 입상은 미완성 불상으로 연구가치가 높다함니다
소백산 희방사
희방사 전경
영주에서 소백산 올라가면 소백산 비로사 일주문
구레 화엄사 일주문
화엄사 전경
적멸보궁 사자자 삼층석탑
경기도 화성 용주사 (정조 임금이 세운사찰)
정조임금이 아버지 사도세자 위패를 모셔놓고 불공을 올린사찰
여주 봉미산 신륵사 일주문
남한강 굽이치는곳에 신륵사 다층탑(점탑)
나옹선사 다비식을 치른곳
나옹선사 부도탑 (나옹선사는 신륵사를 조사하신 선님이시다)
지리산 법계사 일주문
법계사 적멸보궁
법계사 산신각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할매를 모신곳이다
법계사전경
남목 마골산 동축사
마골산 동축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화정동 월봉사
월봉사 전경
월봉사 대웅전과 불탑
팔공산 동화사 일주문
동화사 전경
동화사 통일대불
문경 사불산 대승사 일주문
대승사 탱화는 목각으로 새겨 제작한것이다
윤필암 사불전에서 사불암바위을보고 기도올린다
사불암
문경 운달산 김용사 일주문
김용사 대웅전
김제 모악산 금산사 일주문
부처님 사리를 모신 방등 사리탑 (적멸보궁)
금산사 미륵전(국보제 62호)
설악산 봉정암 전경
봉정암 적멸 보궁
인제 백담사
백담사 전경
밀양 표충사 일주문
사명대사 얼이 살아있는 경내
양북 함월산 기림사 일주문
대적광전(보물제833호)
합천 매화산 청량사
법당에 불상이 석상으로 조성도였읍
연화도 보덕암을배경으로~~(용머리바위)
연화도 보덕암전경
연화산 연화사
연화사석탑
안강 정혜사지 13층 석탑(국보 제40호)
남산 동쪽자락 감실할매입상
용장사지 불탑에서 ~~
용장사지 삼층석탑(여기가 불교에서 말하는 도솔천 이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은 수미산의 꼭대기 위에 있는데, 도솔은 '만족시킨다'는 뜻으로 한자로는 지족천(知足天)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이곳에 사는 사람(천인)들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다섯 가지 욕심(재물욕, 명예욕, 식욕, 수면욕, 색욕)을 마음껏 누리며 만족(知足)한 삶을 누리고 있다고 한다. 이 도솔천은 외원궁과 내원궁 두 곳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외원궁은 천인들이 즐거움을 누리며 살아가는 곳이고, 내원궁은 미륵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지상에 내려올 때를 기다리며 깊이 생각에 잠겨 있는 곳이다. 그러나 이 도솔천에는 미륵보살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모든 부처와 보살이 이 도솔천에 머물면서 성불한다고 한다.
내고향뒤산 고위산을 배경으로~~
통도사 뒤 극락암 극락교을 배겨으로~~
극락암 불이문
통도사뒤 자장암에서~~
금개구리 계시는곳~~
1300년이지난 금개구리 난못밨네
봉화 청량산 청량사 전경
여수 향일암 금강문
옛날건물(지금은 불타고 없습)
새로세운 원통보전
강화 석모도 보문사일주문
자연석 그대로 이용하여 조성한 와불
눈섭바위 마애불앞에서 강화 벌밭을 바라보면서~~
강화 전등사 경내
의성 고운사 일주문
기와불사 한번하고~~
팔공산 은혜사 일주문
군위 제2석굴암 앞에서
기장 용궁사 전경
속리산 법주사 일주문
속리산 법주사 미륵불
법주사는 553년(진흥왕 14)에 의신이 창건하였고 그 뒤 776년(혜공왕12)에 진표가 중창하였다. 법주사라고 한 것은 의신이 서역으로부터 돌아올 때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이곳에 머물렀다는 설화에서 유래된다. 특히 청동 미륵대불은 경내에 있으며, 당초에는 청동으로 주성되었으나 조선조 때 대원군이 경북궁 중건을 위한 당백전 주조 목적으로 철거하여 1939년 김복진 선생에 의하여 백척의 시멘트 미륵불로 1964년에 완성되었다. 1987년 4월 낡은 시멘트 미륵불을 철거하고 원형을 다시 복제하여 청동으로 제작 1990년 4월 12일 높이 33m 두께1,320mm 청동이 160톤으로 세계 최대규모이며, 지하에는 백팔번뇌를 상징하는 108평의 석굴 법당과 122평의 유물 전시관이 있다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
속리산 문장대
통도사 말사 백운암에서~~
울릉도 도동 대원사
해남 두륜산 대흥사
우척이 부처님얼굴 중앙이 좌우척손 끝이발입니다
부여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소형 청동인물상을 처음으로 소개했다. 청동인물상은 높이 6㎝, 폭 2.5㎝의 소형이다. 연구소는 이 청동상이 석가모니를 낳고 있는 마야부인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했다. 일반적으로 출산 중인 마야부인은 오른손을 들어서 나뭇가지를 잡고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석가모니는 마야부인의 허리 부분에 신체 일부로, 혹은 마야부인과 조금 떨어져 전신으로 묘사된다. 인도 라호르박물관, 일본 호류지, 네팔국립박물관 등의 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다. 석가모니가 마야부인의 허리에서 태어났고, 출산 직후 일곱 걸음을 걸은 후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외쳤다는 탄생설화에 바탕을 둔 것이다.
춘천 청평사경내(2015,05,24)
운악산 현등사(2015,08,30)
내장산 내장사에서~~(2015.11,04)
치악산 구룡사 (2015,12,13)
해남 달마산 미황사(2016,04,20)
희양산 봉암사(2016,05,14)
'사찰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의 삼보하옵고(1) (0) | 2012.06.01 |
---|---|
부처님 10대제자 석상(석굴암 본존불 옆벽) (0) | 201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