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순례

귀의 삼보하옵고(1)

 

 석굴암 본존불

문경 희양산 봉암사 일주문

봉암사전경(뒤쪽에보이는봉우리가 희양산)

 

 

 

 

 

봉암사에서 뒤쪽계곡으로800m정도 올라가면 불상이 있음

 

봉암사 월봉토굴 

 

 

월봉사경내

 불탑과 대웅전

2012(임진)년 사월초파일 연등제 출품작 

 대만 용산사 (도교사찰) 관우장군을 모시는 사찰임

용산사 법당에 관우장군 영정 

서산마애삼존불 

 백제의미소

 

돌러들 지대(돌이종소리가남) 만어사

 미륵바위

 

 금강산 건봉사

 

 

 

 건봉사 적멸보궁

 

속초 오봉산 낙산사 

 원통보전과 칠층석탑

낙산사 해수관음상 

 의상대

홍련암

 

 설악산 신흥사 일주문

 

 

 

팔공산 선본사 일주문

 

우리나라사람이면 한번쯤 기도올린 부처님

갓바위 마애불

 

베트남 낫짱 타파사원

 

베트남 하노이 일주사

 

캄보디아 알코르왓 바이욘 사원

앙코르왓 미소앞에서

 

중국 천문산 천문산사

천문산사 전경

 

 

 

라오스 탓루앙사원(2015,04,08)

 

용문산 용문사

가평 용문사(우리나라에서 가장큰 은앵나무 아래에서~~)

 

 

 

금강산보현사 팔각 13층 석탑(고려시대)

 

한송사(국보제124호)

 

진한 마이산 탑사설경 

 

 

광주무등산 증심사 일주문 

 

광주유형문화재 제14호증심사 석조보살입상

 

수원광교산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봉령사 대웅전 뒤편 언덕에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다가 출토된 삼존불(三尊佛)이다. 삼존불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모래가 많이 섞인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부분적으로 훼손이 심하다.

각각 아래로 향한 연꽃잎이 새겨진 대좌(臺座)를 가지고 있으며, 1구(軀)는 좌상이고 2구는 입상이다. 앉아 있는 본존불을 중앙에 두고 좌우에 서 있는 협시불을 배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존불은 민머리에 양쪽 귀와 목이 짧으며, 돌이 닳아서 희미하게 보이지만 얼굴은 원만한 모습이다. 옷은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있고,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놓았으며 왼손은 가슴에서 손바닥을 안으로 향하게 했다. 두 협시불 역시 본존불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오른손을 밑으로 내려 옷주름을 잡고 있는 점이 다르다.

각 부분의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신중단에 봉안된 신중탱화는 1891년에 조성된 것으로 현조(現照), 돈조(頓照) 두 스님에 의해 그려졌으며, 현왕탱화와 함께 현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림의 도상은 연꽃을 든 대범천왕, 제석천왕과 삼지창을 든 동진보살이 화면 중앙에서 역삼각형의 구도를 이루고, 그 좌우에는 호위 존상들이 그려져 있다. 동진보살의 좌우에 호계대신, 복덕대신, 주산신, 주왕신을 그리고, 대범천왕과 제석천왕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천자, 용왕, 명왕을 비롯해 천동, 천녀가 양쪽으로 묘사되어 있다.

 

 

 

 

 

현왕탱화는 가로 131㎝, 세로 104㎝의 크기로, 역시 비단에 채색하였다. 현왕탱화는 주로 19세기 이후에 유행했던 그림으로서, 사람이 죽은 지 3일 만에 재판을 하는 현왕과 그 무리들이 묘사되며, 시왕도(十王圖)와 거의 비슷한 배열을 하면서 지옥 장면만 생략한다. 이 그림 역시 중앙에 현왕(염라대왕)을 중심으로 좌우에 판관·녹사 등을 배치하였는데, 약사전에 함께 걸려 있는 다른 탱화들과는 구도나 채색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화폭 아래쪽의 기록을 통해 고종 15년(1878) 화사 완선이 제작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고성 약사전 

 

 

사천 백천사 

고성문수암 청담선사 사리탑앞에서~~ 

고성문수암

 

고성보현암 일주문 

 

신라박제상 부인 영혼이 깃들은 은을암 

은을암 법당과 종각

 

두타산 삼화사일주문 (2013,6,2)

삼화사전경

 

해남 두륜산 대흥사일주문(2013,8,6) 

뒤두륜산정상을보라 우측은부처님얼굴,중앙은 양손,좌측은 부처님발 그래서 와불형상이라한다

 

남해 보리암전경(2013,8,5) 

보리앙 해수관음보살

 

구례사성암(2014,3,30) 







서산 간월도 간월암(2016,02,03)

무학대사가 태어나고 달(月)보고 득도 한곳이다





계룡산 동학사(2016,02,21)

 

 

 

 

 

 

'사찰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보귀의 하옵고  (1) 2011.05.02
부처님 10대제자 석상(석굴암 본존불 옆벽)  (0) 201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