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족보

김해김씨(삼현파)내역

김동길 2011. 10. 30. 08:23

나의시조 김수로왕 할배(나는73세손)

 

 

◈ 김해김씨(金海金氏)에 대(對)하여

 

1. 시조(始祖) : 김수로왕(金首露王)

2. 유래(由來) :

시조(始祖)는 김수로왕(金首露王)이다.

가락국(駕洛國)에는 본래(本來)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 등 아홉 촌장이 각 지방(地方)을 다스렸는데 서기 42년 3월에 구지봉(龜旨峰)에서 이상한소리가 났다. 아홉 촌장과 사람들이 올라가자 "산봉우리에 흙을파며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라. 만약(萬若) 머리를 내지 않으면 구어 먹겠다.'라고 하면서 춤을 추면 곧 임금을 맞이할 것이다."라고 하자 그대로 하였더니,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땅에 닿아 있었다. 그 끈의 끝에 붉은 보자기에 금으로 만든 상자가 싸여 있으므로 이것을 열어 보니 둥근 황금(黃金)알 여섯 개가 있었다.

 

이것을 아도간의 집으로 가져가자 다음날 이 알이 여섯 어린아이가 나왔는데, 제일먼저 나온 아이 이름을 김수로(金首露, 42~199.3.23)로 하고 그달 보름에 왕으로고 나라 이름을 가락(대가야)이라하고,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기 5가야(伽倻)의 임금이 되었다고 한다. - 이상은 "삼국유사" 중에서 -

 

그중 먼저 나온 수로(首露)는 금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性)을 김(金)으로 하였다. - 이상은 "개황력(開皇曆)" 중에서 -

 

이 수로왕(首露王)을 시조(始祖)로 하는 성씨(姓氏)가 바로 김해김씨(金海金氏)이다. 김해는 가락국(駕洛國)의 고도로서 지명(地名)도 여러 가지로 변했으나 고려(高麗) 충선왕(忠宣王) 때 김해(金海)부가 설치(設置)됨으로써 본관(本貫)을 김해(金海)로 하였으며 가락김씨(駕洛金氏)라 고도 불리 우고 있다.

 

수로왕(首露王)이 즉위(卽位) 7년에 아유타국(현재 인도 중부지방(中部地方)의 고대국가)의 공주(公主)인 허황옥(許黃玉, 33~189.3.1)을 왕비(王妃)로 맞이하여 10남 2녀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김씨(金氏)로 왕통(王統)을 잇고 두 아들은 왕비(王妃)의 간곡한 요청(要請)으로 왕비(王妃)의 성인 허씨(許氏)인 (태인허씨(泰仁許氏))를 주었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佛家)에 귀화(歸化)하여 하동 7불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허씨(許氏)에서 갈라져 나온 인천이씨(仁川李氏)가 있으며 세 성씨(姓氏)가 다 같은 혈족(血族)이라며 종친회(宗親會)도 '가락중앙종친회(駕洛中央宗親會)'로 하였다.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중시조(中始祖)는 수로왕(首露王)의 12세손(世孫)인 김유신(金庾信) 장군(將軍)이다. 김유신(金庾信)은 가락국(駕洛國) 마지막 왕인 구형왕(仇衡王)의 증손(曾孫)자이며 무열왕(武烈王)의 딸 지소 부인(智炤夫人)과 혼인(婚姻)하였다. 할아버지는 신라(新羅)의 장군(將軍)이자 각간(角干)인 김무력(金武力, 구형왕(仇衡王)의 막내 아들)이고, 아버지는 당대(當代)의 이름난 장군(將軍)인 김서현(金舒玄), 어머니는 진흥왕(眞興王)의 동생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萬明)이다.

 

 

◈ 삼현파(三賢派)에 대(對)하여

 

1. 시조(始祖) : 김관(金管)

2. 유래(由來) :

삼현파(三賢派 :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의 1세조(世祖)인 김관(金管)은 고려(高麗)에서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歷任)하고 학교(學校)를 설립(設立)하여 유학(儒學)을 진흥(振興)시키는 등 나라에 많은 공(功)을 세웠으며, 그의 현손(玄孫) 김극일(金克一)은 효행(孝行)으로 이름을 떨쳤다. 김극일(金克一)의 아들 김맹(金孟)은 세종(世宗) 때 문과(文科)에 올라 집의(執義)를 지냈으며, 밤에 용마(龍馬)의 꿈을 꾸고 세 아들을 낳아 김준손(金駿孫), 김기손(金驥孫), 김일손(金馹孫)으로 이름을 지었는데 이들 3형제(兄弟)가 모두 빼어나서 "김씨삼주(金氏三珠)"로 일컬어졌다.

 

김일손(金馹孫)은 1486년(중종 17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일찍이 김종직(金宗直)의 문하(門下)에서 글을 읽고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등과 친교(親交)를 맺었으며 춘추관(春秋館)의 사관(史官)으로 있을 때 전라감사(全羅監司) 이극돈(李克墩)의 비행을 사초(史草)에 썼다가 그의 원한(怨恨)을 사게 되었다. 연산군(燕山君)이 등극(登極)하여 성종실록(成宗實錄)을 편찬할 때 공교롭게도 이극돈이 당상관(堂上官)으로 참여(參與)하여 사초를 살피게 되니 김일손(金馹孫)의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意帝文 :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글)을 실은 것이 발견(發見)되어, 이극돈이 노사신(盧思愼), 윤필상(尹弼商), 한치형(韓致亨) 등과 함께 연산군(燕山君)에게 알려 무오사화가 일어나 김일손(金馹孫)은 권오복(權五福), 권경유(權景裕), 이목(李穆) 등과 함께 참수(斬首) 당하였고, 김종직(金宗直)은 부관참시(剖棺斬屍 : 죽은 뒤에 큰 죄(罪)가 드러나 무덤을 파고 관(棺)을 꺼내어 시체(屍體)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거는 일)되었다.

 

김일손(金馹孫)의 강직(强直)한 기개와 재능(才能)은 후일(後日)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렸고, 중종(中宗) 때의 영의정(領議政) 남곤(南袞)은 말하기를 "세상(世上)에 다시 탁영(濯纓 : 김일손의 호)같은 이가 또 나올 수 있을까. 그의 문장(文章)을 물에다 비하면 탁영은 강하(江河)와 같고 나는 개천에 지나지 못하다"라고 김일손(金馹孫)의 짧은 생애(生涯)를 애석(哀惜)하게 여겼다.

 

삼현(三賢)의 한 사람인 김대유(金大有)는 김일손(金馹孫)의 조카이며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다.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숙부(叔父) 김일손(金馹孫)이 참수(斬首)당하자 부자(父子)가 함께 호남(湖南)에 유배되었다가 중종(中宗)때 풀려나와 평생(平生)을 강개한 지절(志節)로 살았으며, 3개월(個月) 간의 칠원현감(漆原縣監)을 마지막 벼슬로 사직(辭職)하고 청도의 운문산(雲門山) 속 삼족당(三足堂)에서 73세로 일생(一生)을 마쳤다.

 

김일손(金馹孫)의 증손(曾孫) 김언유(金彦諭)는 고양에 살면서 지극한 효행(孝行)으로 명망(名望)이 높았고, 시(詩)와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특히 송설체(松雪體)에 능하여 비(碑)와 병풍(屛風), 족자(簇子)의 글씨를 많이 썼다.

김언유의 아들 김현성(金玄成)은 광해군 때 폐모론에 불참(不參)하여 면직(免職)되자 청빈하게 여생(餘生)을 마쳤으며, 시(詩), 서화(書畵)에 모두 능(能)했다.

 

그 밖의 인물(人物)로는 심하(深河)의 전투(戰鬪)에서 공을 세운 김경서(金景瑞)와 운서(韻書)를 깊이 연구(硏究)하여 중국어(中國語)에 능통(能通)했던 김덕승(金德承),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김예직(金禮直), 조선(朝鮮) 풍속화(風俗畵)의 대가 김홍도(金弘道)가 유명했고, 충효정려(忠孝旌閭)를 사액(賜額)받은 김진희(金晋熙)와 "해동가요(海東歌謠)"를 남기고 "청구영언(靑丘永言)"을 편찬(編纂)한 김천택(金天澤) 등이 있다.

 

3. 김해김씨(金海 金氏) 三賢派(版圖判書公)의 중시조 - 김관(金管)

 

 

삼현파(三賢派 - 극일, 일손, 대유) : 고려(高麗) 충선왕(忠宣王)때 목관지 판도판서(版圖判書公)인 김관(管)을 중시조로 한다.

호(號)는 정성(靖醒)이고, 고려(高麗) 판도판서(版圖版書) 국자사이다.

 

일찌기 왕에게 간(諫)하여 불교(佛敎)를 배제하려 하다가 이를 듣지 않아 무릉산중으로 퇴은(退隱)하여, 왕(王)이 불러도 가지 않아 어병(御屛)을 하사(下賜)받았다.

 

병오(丙午)에 안회간유(安晦幹裕)를 곡(哭)하고, 돌아오면서 충선(忠宣)왕이 원(元)에게 유피(留被)됨을 듣고 즉시 돌아오시게(왕환:往還)하여 모셔오고(배종:陪從), 갑자(甲子)에 도성이 불타는 것을 보고 불속으로 들어가 왕을 구하려 하자(救援) 하늘에서 큰비를 내려주어 불이 꺼졌다. 또 별읍학교(別邑學校)를 세워유화(儒化)를 진흥코자 하였으나 왕이 이를 들어주지 않음에 따라 실망한 나머지 저복(儲福)산으로 퇴거(退居)하고, 원(元)나라에 들어가 왕의 복위(復位)를 청하였다.

 

계미(癸未)에 충혜(忠惠)왕이 원(元)에게 억류(抑留)되고, 국상(國喪)을 당하자 왕(王)을 병양(兵陽)까지 배종(陪從)하여 원(元)에게 왕(王)을 대신하여 머물겠다고 청하자, 그 충성으로 인해 방환(放還)되었다. 을유(乙酉)년 2월 십구일에 세상(世上)을 뜨시니, 향년 96(享年 九十六) 훈노(勳勞)로 조정(朝廷)에서 이인복(李人復)을 명하여 저복(儲福)산에 예장(禮葬)하게 하고 와판(瓦板)을 펴어 배토성분(培土成墳)하게 하였다. 지금은 창원(昌原)군 대산(大山)면 유등(柳等)동 신좌(辛座)이다. 오랫동안 실전(失傳)하다가, 다시 고쳐 봉하고 쌓아(개봉수축:改封修築) 매년 음력(陰曆) 10월 초 삼일에 봉향(奉享)하고 있다.

 

판도판서(版圖版書) : 고려 때에 호부상서로 고치기 전의 판도사(版圖司)의 으뜸 벼슬 조선으로 말하면 영의정(領議政)이다.

판도사(版圖司) : 호조의 고려 때의 일컬음.

호조(戶曺) : 조선시대 때 호구(戶口),공부(貢賦),전량(錢糧),식화(食貨)에 관한 사무를 맡았던 육조의 하나임.

 

 

 

 

4. 김해김씨 판도판서공파(삼현파)金海金氏 版圖判書公派(三賢派)

항렬표(行列表).

16 / 64 : ○현(顯)

17 / 65 : 재(再)○

18 / 66 : ○규(圭)

19 / 67 : 창(昌)○

20 / 68 : ○두(斗)

21 / 69 : 용(容)○

22 / 70세 : ○곤(坤)

23 / 71세 : 鍾(종)○

24 / 72세 : ○洙(수) ○泰(태)

25 / 73세 : 相(상)○ 東(동)○

26 / 74세 : ○煥(환) ○熙(희)

27 / 75세 : 廷(정)○ 在(재)○

28 / 76세 : ○鎬(호) ○鎭(진)

29 / 77세 : 永(영)○ 汶(문)○

30 / 78세 : ○根(근) ○杓(표)

31 / 79세 : 炳(병)○ 炅(경)○

32 / 80세 : ○埰(채) ○基(기)

33 / 81세 : 錫(석)○ 銘(명)○

34 / 82세 : 洪(홍)○ 淳(순)

35 / 83세 : 柱(주)○ 桂(계)○

36 / 84세 : ○夏(하) ○烈(열)

수로왕릉 안내도

수로왕릉을 들어가는 홍살문 

가락루 누각

 

수로왕릉 전경 

백설이 만건곤할때 할배릉전경

 

 

 

글씨.rtf

 

허황옥 할매릉

백설이 덮인 수로왕비(할매)릉

 

 

요즘은 배 바란스를 물을사용하지만 그당시는 그런기술이 발달하지 않았어 이돌은 아마 배 바란스용으로 사용하지 않았나 짐작 간다.

신위를 모신 숭선전과 제를올리는 안향각

 

 

숭신각

김해김씨 시조 김수로왕 영정

김수로왕 비  허황옥 할매 영정

 

 

 

*2대 거등왕(7396~AD199)비:천부경

*3대 마품왕(7456~AD259)비:종장

*4대 거즐미왕(7488~AD291)비:아궁

*5대이시품왕(7543~AD346)비:농경

*6대 좌지왕(7604~AD407)비:도령

*7대 취희왕(7618~AD421)비:진사

*8대 질지왕(7648~AD451)비:김상

*9대 감지왕(7689~AD492)비:출충

 

산청에 가야10대왕 구형왕릉 김유신장군에 증조할아버지

 

나는 양왕(구형왕)의 64세손이다

이곳은 구형왕과 왕비(계화왕후)를 춘 .추향으로 제올이는 덕양전 이다

흥무왕 김유신 사대비(김유신장군 어린시절 이곳에서 활쏘고 무술을 닥던 터이다)

신라 태 대각간 순충장렬비

김무력영정 구형왕아들,김유신장군에 할아버지

 김유신장군에 아버지 김서현 딸문희는 태종무열왕의비(아내)됨

 

경주서학 김유신장군비 (서편)

 

 

동편비석

 

김유신장군(흥무대왕)묘

 

장군 묘는 흥무대왕릉이 되었어요. 김유신 장군. 이 비석은 지금 남아김유신 장군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룰 때의 명장이에요. '삼국사기'에 의하면 장군이 죽자, 문무왕이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루고 비석을 세웠다고 하네요있지 않아요. 흥덕왕이 김유신 장군을 흥무대왕으로 추봉하였고, 이후 김유신  묘에는 12지신상이 조각되어 있어요.


김유신 장군(595~673년)은 가야국 김수로왕의 12대 손이다. 가야가 신라에 편입된 후 신흥 무관 가문으로 떠 올랐지만, 신라에서는 비주류 계층이었다. 진평왕 때 15세의 나이로 화랑이 되었다. 김춘추와 함께 선덕여왕을 보필하였고, 선덕여왕이 자식이 없이 죽자, 김춘추를 왕으로 추대하였고, 그가 무열왕이 되었다. 무열왕 때 계백장군의 백제군과의 황산벌 전투에서 이겨 백제를 멸망시켰다. 무열왕의 아들이자, 김유신의 조카인 문무왕은 668년(문무왕 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 때는 이미 나이가 많아 직접 정벌에 참여하지 못했다. 삼국통일 이후 태대각간에 올랐고, 당나라를 축출하다가 673년(문무왕 13년) 7월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835년(흥덕왕 10년) 흥무대왕(興武大王)이 되었다.

 

 

 김유신장군(흥무대왕)둘례석에 십이지상은 유명하지

경주 황성공원내 김유신 장군동상(처음엔 왜구를막기위하여 동쪽을보았어나 지금은 북쪽을 향하고 있다)

충북 진천군 김유신장군 탄생지 

 

김유신 장군영정

 

4. 김해김씨 판도판서공파(삼현파)金海金氏 版圖判書公派(三賢派)(극일,일손,대유)

항렬표(行列表).(앞숫자는 파시조의()세,뒷숫자는 시조의()세)읽으세요

*그러므로 앞숫자는 중시조 김관(金管)할배고,뒷숫자는 김수로왕 할배로부터 계산하면된다(항렬 이름은 금(金),수(水),목(木),화(火),토(土)즉,고조,증조,조부,부친,나,순으로 5대(代)로 돌아간다 여기에 맞춰 본인 이름으로 항렬,대수를 찾으면 된다

慶州 白雲坮 金海金氏 世譜修單

(경주 백운대 김해김씨 세보수단)

 

11/59:선경(善慶)

                    

12/60:흡(潝)

           

13/61:성중(聲重)            

           

14/62:봉장(鳳章)

 

15/63:취구(就九)

             子:현빈(顯彬) :맏이 현빈 할배대수는 외동면 연안2리 김기한으로 세보(世譜)가내려감

      子:현창(顯昌) 

      子:현주(顯住):나는 세째분 현주 할배 세보(世譜)다

                     나:   김동길(金東吉)

16 / 64 : ○현(顯)나의9대조 子:현주(顯住)휘(諱):애주 자:오문 효종(辛酉)생

졸(卒):임술 사월이십일 묘:울산시북구강동면 대안수내등(해좌)亥座

배(配):경주이씨 부:시영,(記)갑자일월십일 묘는 할배와합품

 

8대조 할아버지 산소있는 큰자리

 

17 / 65 : 재(再)○나의8대조 子:재민(再敏)휘(諱):득민 자원중 효종

(甲申)갑신 생

졸(卒):병술 칠월일일 묘: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 큰자리(계좌) 癸座

배:성주이(星洲 李)씨 부:수노,(기):신묘 십월이십팔일 묘는 할배와합품  

척곡 7대조 할배묘 상 할배 다음 장사랑할매(영산신씨 ) 하는 시두할배 할매(용궁전씨)

 

7대조 일규할배 산소

큰자리 7대조 할매묘(성주 성씨)

 

18 / 66 : ○규(圭)나의7대조 子:일규(日奎)휘(諱):일호 자경보 숙종

(辛亥)신해 생

졸(卒:경인 사월이십팔일 묘: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 척곡전등(묘좌)

배:성주성(星洲 成)씨 부:수준,(기):십월이십구일 묘:큰자리(계좌)구유상석  

6대조 창세할배 산소

6대조영산신씨 할매산소

할배 할매 산소 전경

19 / 67 : 창(昌)○나의6대조(맏형이 창희{昌希}휘:희천,장사랑,나는동생,창세{昌世}할배.자손이다)

子:창세(昌世)자:광익 영종 경오생 卒:갑술 이월이십일묘:경주시내남면 노곡2리 큰자리 계좌(癸座)  배(配):영산 신(榮山 辛)씨 부:현조 졸:계사,육월오일 계좌(癸座) 묘:동원(할배우측 하) 

장등곡(향나무 ) 가선대부 한두할배산소

함안 조씨할매 산소는 풍기군 외면 현동산(甲座)있어 여기에올리지 못했다 자손으로서 죄송합니다.

월성 박씨 할매산소

20 / 68 : ○두(斗)나의5대조 子:한두(瀚斗)자:시중 호:운암 가선대부(雲岩 嘉善大夫)순종 이월십오일生,졸:신미 육월초일 일묘:경주시내남면 노곡2리 장등곡향목 유좌(酉坐) 배:월성박(月城朴)씨졸:십일월이십칠일 임좌(壬座)*할배묘에서동북으로 300m 위쪽에있음 할매는대수를 있지못했음

 배:함안 조씨(咸安 趙) 부:용재 卒:신묘 일월십사일 묘:경북 풍기군외면 현동산 갑좌(甲座)*두분 할매 호칭은 숙부인(淑夫人)으로 쓴다

 

 

 주원리 장안곡 고조부모님 산소 전경 위고조부,아래가 고조모산소

 고조부 (경문)할배 산소

고조모 (단양우(禹)씨) 할매산소

21 / 69 : 용(容)○나의고조부(高祖父) 子:용범(容範)자:경문 순조,丙申사월팔일生졸:병자,구월팔일卒 묘:울주군 두동면 주원리 장안곡 임좌(壬坐)

配:단양우(丹陽 禹)씨 부(父)금덕 졸:일월삼십일 묘:동원下15m임좌 

장등곡에있는증조모 나주정씨할매산소(대수를 있지못하였음)

증조모 밀양 박씨할매산소 할배산소 윗쪽에 있음

증조부 산소(택호:양동할배)

 

22 / 70세 : ○곤(坤)나의증조부(曾祖父)  子:정곤(廷坤) 자:주로 철종갑자 이월 십일생 졸:오월 십구일 묘: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 산재등계좌 配:밀양박(密陽 朴)씨 무자 십일월이십구일生 부:장수졸:팔월 초일일 묘:동원간좌(艮座)(할배묘에서 우측위로 150m쪽에)

:나주정(羅州 丁)씨 卒:병술 팔월이일 묘:백운대 장등곡 壬座

조부산소(죽동할배)

조모산소(이름:장해연)

 

23 / 71세 :(종)○나의조부(祖父) 子:종형(鍾衡) 자:덕오 고종 甲午이월구일生 졸:사월이십이일 묘: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 산재등丑座配:인동 장(仁東 張)씨 부:인식 무술 십일월이십육일生 졸:庚午:이월 이십 팔일 묘:동원 癸座(할배 좌측옆 10m 하쪽)

 

부친산소

모친산소

24 / 72세 : ○洙(수) 나의부친 子:기수(基洙) 자:기호1927年3月27日정묘(丁卯)生 卒:1995年5月7日(乙亥)묘:경주시 내남면 노곡2리산재등 계좌(癸座)

모친:1929年1月2日기사(己巳)生 이름:박도필(朴 道必)밀양박(密陽朴)씨 父:한인

卒:2018年3月5日(陰:정월 17日)(戊戌年) 묘:동원 부친좌

실:용궁 전씨 병자 오월이십사일생 부:상기

 

 

지금에 충북 괴산 대야산 중턱 논바위에 걸터앉아 인생을 론하면서~~~~~ㅎㅎㅎ

25 / 73세 : 相(상)○ 東(동)○나 김동길(金 東吉)1954년12월12일생

처:이근숙(李 根淑) 벽진이(碧眞 李)씨1958년1월 7일(戊戌) 父:장수

 

 

26 / 74세 : ○煥(환) ○熙(희)자:김정희(金 正熙)1981년9월9일(辛酉)

처:임진숙(任 眞淑) 풍산임(豊山 任)씨1981년12월20일신유(辛酉)생 부:진택

 

:김대희(金大熙)1983년10월20일생 계해(癸亥)

 

 

27 / 75세 : 奎규 在(재)○


28 / 76세 : ○鎬(호) ○鎭(진)

29 / 77세 : 永(영)○ 汶(문)○

30 / 78세 : ○根(근) ○杓(표)

31 / 79세 : 炳(병)○ 炅(경)○

32 / 80세 : ○埰(채) ○基(기)

33 / 81세 : 錫(석)○ 銘(명)○

34 / 82세 : 洪(홍)○ 淳(순)

35 / 83세 : 柱(주)○ 桂(계)○

36 / 84세 : ○夏(하) ○烈(열)

*지금에 나 뿌리를 내 나름대로 찾아와 보았다 누구씨든가 이파일을  보고 고칠게 있으면 댓글을 좀 올려주시면 감사합니다

 

 

 

 

 

 

 

 

 

 

 

 

 

 

 

 

 

 

 

 

 

 

 

 

 

 

 

 

 

 

 

 

 


글씨.rtf
4.46MB